Taewon Kim
The WON lab
Identifying Work, Oppressive systems,
and Needs of marginalized groups
감사합니다! 제 웹사이트를 방문해주시고, 제 연구와 활동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김태원(Taewon Kim, she/her/hers)입니다. 이 공간에서 여러분과 인사드릴 수 있어 기쁩니다.
저는 현재 미국 플로리다대학교(University of Florida) 상담심리학 박사과정 프로그램의 조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한국에서 태어나 자랐고, 콜로라도주립대학교(CSU) 심리건강센터에서 박사 인턴십을 수료했으며, 휴스턴대학교(University of Houston)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웹사이트는 영어와 한국어를 모두 지원하고 있습니다. 상단의 언어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원하시는 언어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상담심리학 박사과정에 국제학생으로 지원하고자 하시는 분, 또는 연구 협업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언제든 편하게 연락 주세요.
또한, 저는 현재 2025년 가을 입학 예정 박사과정 학생을 모집 중입니다. 함께 공부하고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아래는 저의 연구 관심사와 활동 영역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 주요 연구 관심사 (중심 정체성)
-
일 자본(Work Capital): 경제적, 사회적, 인적, 문화적 자본
-
사회계층과 계층차별(Classism)
-
사회이동성(Social Mobility)
-
소외된 집단: 이민자, 저소득/노동계층 학생 등
🌿 보완적 주제 (새롭게 확장 중인 연구 영역)
-
세대 간 트라우마와 기억
-
제도화된 폭력과 침묵 구조
-
(침묵은 이동성과 표현을 제한하는 보이지 않는 장벽으로 작용)
-
-
문화적 정체성과 회복탄력성
🧠 이론적 기반
-
일의 심리학 이론(Psychology of Working Theory)
-
사회계층의 심리학 (Psychology of Social Class)
-
부르디외의 자본 이론(Bourdieu’s Capital Theory)
-
침묵 이론(Silencing Theory, Dotson 외)
-
비판적 의식과 탈식민 관점(Critical Consciousness & Decolonial Thought)
🧪 연구 방법론
-
양적 및 질적 연구 모두 합니다!
-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구성주의 근거이론 및 주제분석
-
비교문화적·초국가적 연구 설계
-
✊ 연구의 궁극적 목적 및 사회적 기여
-
인간의 존엄성과 괜찮은 일(Decent Work)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구조적 장벽을 드러내기
-
소외된 상황 속에서도 인간의 능동성과 존엄을 조명하기
-
상담, 교육, 정책 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 제공하기
-
침묵당한 이야기를 학문과 사회 속 담론으로 끌어올리기
안녕하세요!

일을 안 할 땐...
미술관, 카페, 베이커리에서 절 발견하실 수 있어요! 그리고 물가에 있거나 그림 그리거나 요가를 하거나 춤 추는 걸 좋아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