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earch

APA Featured Stage

  • Writer: Taewon Kim
    Taewon Kim
  • 4 days ago
  • 8 min read
ree
ree
My Sisters!!!
My Sisters!!!

At the 2025 APA convention in Denver, my colleagues and I gave a talk on the featured stage. The technician, with an excited voice, told me,

“This might be the largest audience for a morning session.”


The room could accommodate 999 people, and as I looked from the stage toward the back, I saw how tightly packed the seats were and thought that maybe around 800 people had come. When the talk ended, people stood up and applauded. After the talk, people stayed at the stage, crying as they expressed their gratitude, saying, “I regained hope through your talk.”

Later, when I walked around downtown Denver, people recognized me and came up to speak with me, saying “Oh, you are the person on the stage, aren’t you?" Everything felt so unreal or surreal.


Right after the talk, Ryan asked, “Now that the talk is done, do you feel relieved? Or do you feel excited because you did so well?”

I answered, “I don’t know… it just feels like I’m back to my normal life. I don’t feel anything.”

Ryan looked at me with an expression as if he couldn’t understand me. That sounded strange to me, too. The cheering, the standing ovation, even the way people recognized me on the street as if I were a K-pop star - it all didn’t feel real. Perhaps it was because, for the very first time, I stood and confessed my sociopolitical trauma and personal wounds in front of nearly 900 people.

-

In early 2016, I lived for several months having lost my vision. When, miraculously, I was able to see again, I decided to try something I once thought my life would never allow me - studying abroad and doing a PhD. People said Korean applicants prepare for a year or two to apply for PhD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when I decided, only a few months left until the November 1st deadline. I prepared roughly because my vision was still blurry and not fully recovered.


Around that time, the corruption scandal between President Park and Ewha Womans University was revealed. I joined the protest, asking for the resignation of the President. On the day when 1,600 armed police surrounded the building where 200 female students and alumni, I remember us singing out of fear, almost at random - “Into the New World” by Girls’ Generation. We were dragged away violently, and we saw the building, legally regarded as a national treasure, collapsing. the violence, we still decided to keep resisting but in a smarter way. Students continued to show our resistance by occupying the building as a protest site day and night by reading books, eating breakfast/lunch/dinner, studying, doing teamwork, etc. (because the building was too old, it did not have any HVAC system).

I attended the protest almost every day in the building without air conditioning, and I often blamed myself. “I should be at home recovering my health and preparing for graduate school. Why am I here, giving up my personal gain?”


No matter how logically I thought about it, staying home to prepare for grad school comfortably was the better decision. However, I could not help but continued to go to the protest site. I couldn’t understand myself, and I honestly hated myself for it. “I am such a stupid person who puts myself at risk. I might miss this life opportunity.” Of course, because of my blurred vision on top of attending the protest regularly, I was able to apply to only a few programs.


Time passed. Fortunately, I was able to be accepted by some schools. President Park eventually stepped down. I thought at least I had no regrets about my actions, so I wrapped up those events roughly in my mind. I never spoke to anyone about those days - the memories of girls being dragged away, windows shattering, blood everywhere. Back then, Korea was always like that. When I was at Ewha, men often brought some weapons causing disturbances at the main entrance, saying “I will kill the women!” So, all buildings of Ewha were locked from 11 p.m. to 6 a.m. all the time to protect female students. Men and media always belittled our intelligence, the Korean SAT scores, describing that Ewha students suck, pretending that they are smart, but they are stupid - all they pursue are luxurious items, like Chanel bags. Likewise, our protest, too, faded without being mentioned anywhere and was forgotten.

-

Perhaps because I went through those times, when I heard about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in the U.S. in 2024, I was terrified. I felt powerless - I could do nothing in the U.S. I constantly checked the news, day and night.


But what truly broke my heart was hearing “Into the New World” - a song that had historically never been officially used in protests until we sang at Ewha - echoing across protest sites nationwide. And when the president was finally impeached, the very first song played was that one too. It felt like my heart stopped. I wept.


Later, I learned that the Ewha protest had been recorded and uploaded on YouTube, reaching six million views. That was how people had remembered our history. There was a strange sense of relief (I wasn’t forgotten after all, and we were remembered) and a feeling of connection (our small act was passed on as hope).Through that song, I felt the despair people must have felt in Korea and the struggle to reclaim hope.

-

In the summer of 2025, I shared this story publicly for the first time. It wasn’t easy to speak about it in front of hundreds of strangers. Later, when people turned on their phone flashlights to join in during the protest footage and gave me a standing ovation at the end of the talk - I felt as if the audience was comforting me at Ewha nine years ago.

-

This summer, there was a strangely parallel process to the summer nine years ago. In fact, this talk wouldn’t even count toward tenure review at UF. It was almost like unpaid volunteer work. However, I could not help but spend my entire summer preparing for it. The night before the talk, I practiced and revised on the stage until nearly 11 p.m.

I kept thinking:

“I should be spending this time on research. I should be writing grants, which UF only cares about.”

The guilt was overwhelming. Even so, I couldn’t stop working on the talk. I couldn’t understand why I was pouring myself into this when there was no personal gain. It was painful. This self-blame felt so familiar – the same feeling when I was in the protest 9 years ago. I kept practicing, worrying endlessly, even debating whether I needed to consult a lawyer in case there was backlash. It was exhausting to endure myself who seemed to have such a heroic spirit.


Then, during my visit to Korea this summer, I happened to open my old journal that I wrote nine years ago. In it, I had written:

“I want to use my current protest experience into research someday.”

Back then, nine years ago, counseling psychology rarely addressed systems of power or oppression.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focus was mostly on individual variables like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But there I was, writing those words, as if nine years ago me already knew what I would be doing in the summer of 2025. It felt like my soul had illuminated the path I would take - or perhaps must take - long before I consciously knew it myself. That strange sense of déjà vu lingered. For several nights after the talk, I found myself crying before bed.


So, when Ryan asked me about it, I couldn’t bring myself to explain these complicated feelings. I thought, maybe I’ll have the chance to answer in the next life.


이번 2025 미국 APA 때 featured stage에서 발표를 했었다. 테크니션은 흥분된 목소리로 “아침 세션 중에서 최다 관객 동원인 것 같다”고 말해주었다. 그 자리가 999명을 수용하는 공간이었는데 뒤로 갈수록 빽빽히 앉아 있는 사람들을 보며 아마 800명은 왔겠구나, 생각했다. 발표가 끝나자 사람들이 일어나 박수를 쳤다. 한 시간 넘게 사람들이 무대에 남아 “발표를 통해 희망을 되찾았다”며 울면서 감사의 표현을 했다. 이후 덴버 시내를 걸을 때마다 사람들이 나를 알아보고 말을 걸어왔다. 내 안에선 그 모든 일이 현실감 없이 흘러가고 있었다.


발표 직후, 라이언이 물었다.“이제 긴장 풀렸으니까 좀 살 만해졌어? 아니면 너무 잘해서 기분이 으쓱해?”나는 대답했다.“글쎄… 그냥 일상으로 돌아온 느낌인데. 아무 느낌이 없어.”라이언은 이해할 수 없다는 눈빛으로 나를 바라봤다.그 말이 나도 이상했다. 환호성도, 기립박수도, 무슨 내가 케이팝 스타 마냥 나를 길에서 알아보는 사람들마저 실감이 나지 않았다. 아마도 900명 가까운 사람들 앞에서 처음으로, 내 사회정치적 트라우마와 사적인 상처를 고백했기 때문일 것이다.

-

2016년 여름날, 나는 몇 개월 동안 시력을 잃고 살았다. 기적처럼 앞을 다시 볼 수 있게 된 순간, 내 운명이 내게 허락하지 않으리라 생각했던 것 – 유학-을 급박하게 도전해보자고 결심을 했었다. 남들은 1년 2년 유학 준비를 한다던데11월 1일 데드라인을 몇 달 남긴 채, 아직 시력이 덜 회복되어 흐릿한 시야로 대충 유학을 준비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박근혜 대통령과 이화여대간의 비리가 드러났고, 나는 본관 점거 시위에 참여하게 됐다. 그날, 1600명의 무장경찰이 캠퍼스를 에워싸던 순간, 공포 속에서 무작정 노래를 부르던 기억이 있다.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 학생들이 무자비하게 끌려가고 건물이 붕괴되는 것을 보면서… 그래도 더 저항을 해보자고 학생들은 매일 본관을 시위 시설로 운용하게 되었다.

그 때 에어컨도 없는 본관에 거의 매일 출석하여 시위에 참여하면서 나는 사실 자책하곤 했었다. “이 시간에 편하게 집에서 건강 회복하면서 유학 준비를 해야 하는데 난 지금 내 개인적인 이득을 포기하면서 왜 여기에 오게 되는 거지?” 논리적으로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집에서 편히 유학 준비를 하는 것이 훨씬 나은 결정인데도 불구하고 발걸음은 본관을 향하는 나 스스로가 도무지 이해할 수 없고 미웠었다. 건강 문제도 그렇고 열악했던 시위 환경 탓에 결국 나는 몇 군데 지원을 못했었다.


시간이 흘러 학교를 몇 군데 지원하지 못했었지만 다행히 합격 소식들을 들을 수 있었다. 박근혜 대통령도 퇴진을 하게 되면서 그나마 내 행동에 대한 후회는 없었다는 생각으로 이 일들은 대충 그렇게 마무리 되어 갔었다. 그 날들의 기억들 – 소녀들이 끌려가고 유리창이 부숴지고 피들이 가득했던 - 그것에 대해서는 그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은 채. 당시 대한민국이 그랬듯. 내가 이화를 다녔던 때에는 하도 남자들이 무기를 들고 여자들을 죽여버리겠다고 정문에서 난동을 부렸어서 밤 11시부터 아침 6시까지 모든 건물을 잠그던 때였다. 남자들과 미디어는 항상 우리의 능력과 수능점수를 깎아내리고자 했다. 이화여대 학생은 된장녀라고, 똑똑한 척 하지만 사실 멍청하며 우리가 추구하는 것이라곤 샤넬 같은 명품뿜이라고 묘사했던 때였다.  그렇게 우리의 시위는 언급도 되지 않은 채 잊혀졌었다.

-

그런 시절을 겪어서인지 미국에서 들은 2024 계엄령 소식은 너무나 무서웠었다. 미국에서 무엇을 더 해볼 수 없다는 무력감에 밤낮 없이 뉴스만 확인을 했었다. 하지만 정말 내 마음을 터뜨렸던 것이 있었는데 역사적으로 시위에서 단 한번도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그 노래,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가 전국 시위장에 울려퍼지던 것이었다. 그리고 대통령이 결국 탄핵되는 순간에도 틀어진 바로 첫 노래는 그 노래였다. 심장이 멈춘 듯 했다. 나는 오열했다.

알고 보니 당시 이화여대 시위가 유튜브에 기록 되어 600만뷰를 기록하며 사람들에게 우리의 역사가 기억되고 있었던 것이었다. 잊혀지지 않았었구나, 하는 이상한 안도감, 연결감, 그리고 현재 한국에서 사람들이 느낄 법한 무력감과 그리고 희망을 되찾고자 하는 몸부림이 그 노래로 전해졌었다.


2025년 여름, 나는 처음으로 그 이야기를 세상 앞에 내놓았다. 얼굴도 모르는 몇 백명 앞에서 이야기를 하노라니 그 마음이 쉽지가 않았다. 나중에 사람들이 시위 영상에 함께 핸드폰 플래시를 키며 동참을 하고 발표를 마칠 무렵 기립박수를 받았을 때 - 9년 전의 나를 위로를 해주는 느낌이 들어 무대에서 눈물이 왈칵 하고 났던 것이었다.

-

사실 이번 여름에도 9년 전 여름과 비슷한 평행 프로세스가 있었다. 사실 이런 발표 따위 UF에서 테뉴어 심사에 카운트 되지도 않는 뭐 그런 무료 봉사에 가까운 것인데 이게 뭐라고 몇 달 여름 내내 이 발표만 준비를 했던 것이다. 그리고 발표 전 날 그 무대에서 밤 11시까지 연습하고 또 수정하고… 이 시간에 연구를 더 하거나 그랜트를 더 따야 하는데, 그런 자책감이 너무 힘겨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발표 구상과 연습을 멈출 수 없는 나 스스로가 도무지 이해가 가지가 않았고 그래서 힘들었다. 개인의 이득에 전혀 관계가 없는 것에 이딴 의협심 같은 게 뭐라고 또 연습을 하고, 또 백래시를 당하면 어떡하나 전전긍긍하며 변호사와 상담을 해야 하나 고민하는 이 따위의 나를 견디기가 너무 힘이 들었었다.


그런데 이번 여름, 한국에 방문하면서 우연히 9년 전 일기장을 펼쳐보았다. 그 일기장엔 이렇게 적혀 있었다. ‘지금 하고 있는 시위 경험을 언젠가 연구로 풀어보고 싶다.’

당시 9년 전엔 상담 심리에서는 지금처럼 systems of power나 oppression 등의 이야기는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때였다. 한국은 특히 자존감, 우울, 불안 이런 개인 변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던 때였고. 근데 내가 일기장에 마치 9년 전의 내가 2025년 여름의 나를 알고 있었던 것처럼 썼던 것이다. 마치 내 영혼이 내가 가고 싶은 길 또는 가야 하는 길에 빛을 비춰서 그렇게 쓴 느낌이었다. 그런 이상한 기시감에, 발표 후에도 자기 전에 며칠 동안 자꾸 눈물이 나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 복잡한 마음을 라이언의 질문에 쉽게 꺼낼 수가 없었다. 아마 다음 생에 답을 할 기회가 오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Comments


bottom of page